안녕하세요?
이 번에 한국기독교사상사를 강의하게 된 공헌배입니다.
강의계획서를 올립니다.
한국기독교 사상사
담당강사: 공헌배
강의의 목적
본 강의는 초기 한국개신교회의 선교 상황과 한국개신교회가 처한 시대적 상황을 살핌으로써 한국교회를 돌아보고, 미래의 나아갈 길을 탐구하는 데 있다.
강의의 방법
강사가 주제를 제시하여 한 주씩 그 주제의 내용에 대해 강의하고, 청중들과 토론 한다.
강의 계획
1. 강의개요 및 조선시대 배경사
교재: 공헌배의 발제물
2. 민족무의식과 대지의 신학
교재: 공헌배의 발제물(Ⅰ.Ⅱ)
3. 초기 한국 개신교의 선교 상황과 조선말의 정치상황
교재: 류대영, 개화기 조선과 미국선교사
4. 언더우드 부부와 조선왕가와의 관계
교재: 공헌배의 발제물
5. 고대의 한국 종교
교재: 난랑비서문, 전호태의 책
6. 내세관과 현세관: 유교식 제례관과 고대의 내세관
교재: 정도전의 조선경국전, 전호태의 책, 고구려 고분벽화와 관련 된 논문 등
7. 선교사들이 이해한 한국종교
교재: 이은선의 논문
8. 한국기복신앙
교재: 공헌배의 발제물
9. 장로교회의 노회 설립과 12신조
교재: 황재범의 논문
10. 1930년대의 자유주의 논쟁
교재: 초기 조선예수교장로회의 신조 및 고진옥의 논문
11.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와 한국교회
교재: 공헌배의 발제물
12. 교회의 분열과 WCC논쟁
교재: 공헌배의 발제물
참 고 문 헌
김동선 편. <<초기 개신교 선교사들>>. 서울: 한들출판사, 2001.
류대영. <<개화기 조선과 미국 선교사>>. 서울: 한국 기독교 역사연구소, 2004.
유동식. <<한국신학의 광맥>>. 서울: 전망사, 1982.
전호태, <<고구려 고분벽화 연구>>. 서울: 사계절출판사, 2000.
정도전. <<국역 삼봉집>>. 1. 민족문화추진회 편. 서울: 솔, 1977.
정도전. <<국역 삼봉집>>. 2. 민족문화추진회 편. 서울: 솔, 1977.
최준식. <<한국인에게 문화는 있는가>>. 파주: 사계절출판사, 1997.
Hulbert, Homer B. The Passing of Korea. Seoul: Yonsei University Press, 1969.
Hulbert, Homer B. <<대한제국 멸망사>>. 신복룡 역. 서울: 집문당, 1999.
Underwood, H. G. <<한국개신교 수용사>>. 이광린 역. 서울: 일조각, 1989.
Underwood, H. G. <<와서 우릴 도우라>>. 한동수 옮김. 서울: 기독교 문서선교회, 2000.
Underwood, H. G. <<한국전쟁, 혁명 그리고 평화>>. 주장돈 역. 서울: 연세대학교 출판부, 2002.
Underwood, L. H. <<상투의 나라>>. 신복룡, 최수근 역주. 서울: 집문당, 1999.